2025/07/18 2

시신경 손상 후 안경 처방의 변화 – 재활용 렌즈 가이드

시신경은 망막에서 받아들인 시각 정보를 대뇌 시각 피질로 전달하는 통로로, 시각 정보 처리의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이 신경에 손상이 발생하면 일반적인 시력 저하와는 차원이 다른 시야의 단절, 중심 시야 상실, 또는 시야 결손과 같은 복합적인 문제가 동반된다. 대표적으로 녹내장, 시신경염, 허혈성 시신경병증 등에서 이런 현상이 나타나며, 초기에는 시력이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방향 감각이나 입체시 인식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이처럼 단순한 도수 보정만으로 해결되지 않는 시신경 손상 후의 시기능 변화는 기존 안경 처방 방식에 큰 변화를 요구한다. 특히 망막 중심부가 아닌 주변부 시야를 활용해야 하는 경우, 렌즈 중심의 설계, 배광 구조, 비구면 설계 등 전반적인 광학적 접근이 새롭게 이루어져야 한다. 시신경..

안경학 2025.07.18

편두통과 연관된 시기능 문제 – 광학 조정으로 완화 가능한가?

편두통은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주는 만성적 통증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는 뇌혈관, 호르몬 변화, 스트레스, 수면 부족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최근에는 시기능과의 밀접한 관련성도 주목받고 있다. 특히 특정 조명 환경에서 악화되는 통증, 눈의 피로와 동반되는 두통, 또는 장시간의 집중 이후 발생하는 욱신거림 등은 시각 시스템이 편두통 유발에 일정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본 글에서는 시기능 이상이 편두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광학 설계를 통해 해당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지 여부를 다각도로 분석한다. 특히 프리즘, 코팅, 색 보정 필터 등의 렌즈 설계 요소가 어떤 방식으로 신경 자극을 조절하고 편두통 유발 자극을 차단할 수 있는지 구체적인 사례를 통..

안경학 2025.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