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2 2

비대칭 얼굴형 안경 피팅 가이드 – 렌즈 설계로 해결되지 않는 착용 후 중심 문제, 어떻게 해결할까?

비대칭 얼굴형은 왜 안경을 맞췄는데도 중심이 어긋날까?안경을 착용했을 때 ‘한쪽이 내려간 느낌이 든다’거나 ‘시야 중심이 어딘가 어긋난 것 같다’고 느껴본 적이 있나?이런 문제는 단순한 기분 탓이 아니라 실제 프레임 정렬 불균형에서 비롯된 것일 수 있다. 특히 비대칭 얼굴형을 가진 사용자에게는 렌즈 설계만으로는 해결되지 않는 착용 후 중심 어긋남 문제가 자주 발생한다.기존에는 렌즈 중심 정렬에 초점을 맞춘 설계 전략이 주로 논의되었지만, 안경은 ‘설계’만큼이나 ‘착용 상태에서의 정렬’도 중요하다. 코 높이, 귀 위치, 광대 뼈의 좌우 비대칭은 프레임의 기울기와 렌즈 위치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이는 곧 시야 불균형, 눈의 피로, 심한 경우 두통으로 이어질 수 있다.따라서 이번 글에서는 광학 중심과 시축..

안경학 2025.07.12

낮은 조도 환경에서의 대비감 향상을 위한 광학 설계 원리

낮은 조도, ‘어두운 환경에서 시야가 뿌옇게 느껴지는’ 문제의 시작우리는 종종 어두운 실내, 흐린 날씨, 야간 실외 환경에서 시야가 뚜렷하지 않거나 경계가 흐려지는 경험을 한다. 이럴 때 눈은 더욱 집중해서 정보를 받아들이려 하며, 그 결과 시각 피로가 급격히 누적된다.특히 저조도 환경에서 중요한 시각 요소는 ‘대비감(contrast sensitivity)’이다. 이는 밝기 차이로 물체의 경계를 구분하는 능력을 의미하며, 시력과는 별개의 시기능 요소다.이 글에서는 낮은 조도 환경에서 대비감이 왜 중요한지, 어떤 시각 조건에서 저하되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보완하는 렌즈 설계 원리와 실제 적용 사례를 소개한다.단순한 시력 교정이 아닌, ‘보이지 않던 경계를 보이게 하는’ 광학 설계의 정수가 담긴 내용이다.낮..

안경학 2025.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