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6 2

망막 질환 환자를 위한 특수 콘트라스트 렌즈 설계 사례

망막 질환 환자에게 필요한 것은 단순한 ‘도수 교정’이 아니다망막 질환은 시력 저하를 유발하는 안질환 중에서도 시각 기능 전반에 깊은 영향을 미친다.특히 중심 시력 손실, 시야 흐림, 대비 감도 저하, 색감 인식력 저하 등은 단순한 ‘시력 교정’만으로는 해결되지 않는다.이러한 기능 저하를 겪는 환자들에게는 정밀한 시기능 보조가 가능한 특수 렌즈 설계가 반드시 필요하다.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요소는 ‘콘트라스트 인식력’, 즉 색과 명암 차이를 구분하는 능력이다.많은 환자들이 “시력은 남아 있지만 일상에서 사물이 흐리게 보인다”거나 “글씨가 배경과 섞여 보인다”고 말하는 이유가 바로 이 대비 감도 저하 때문이다.이 글에서는 망막 질환 환자에게 특화된 콘트라스트 보조용 렌즈 설계 기술, 그리고 실제 임상 사..

안경학 2025.07.06

블루라이트 차단 렌즈의 과학적 근거와 실제 효과 비교 분석

블루라이트 차단 렌즈, 기능일까? 마케팅일까?디지털 기기 사용 시간이 급증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블루라이트 차단 렌즈’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등에서 나오는 블루라이트가 눈의 피로와 시력 저하, 나아가 수면 장애까지 유발할 수 있다는 주장들이 퍼지며 블루라이트 차단 기능은 거의 모든 렌즈 브랜드의 기본 사양처럼 자리 잡았다.그러나 과연 이러한 렌즈는 과학적으로 충분한 근거를 가진 기술일까?실제 사용자들의 후기는 엇갈리며, 일부는 효과를 체감한다고 말하지만, 일부는 "거의 차이를 느끼지 못했다"고도 말한다.또한 ‘ 블루라이트 차단’이라는 용어 자체가 광학적 정의와 마케팅적 해석 사이에서 혼동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점도 중요한 문제다.이 글에서는 블루라이트의 정의와 생리학적 ..

안경학 2025.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