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5 3

양안 시기능 불균형에 따른 복합 렌즈 설계 적용법

양안 시기능 불균형, 눈의 균형이 깨지면 삶의 질이 낮아진다많은 사람들은 시력이 좋으면 시기능도 건강할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실상은 다르다. 양쪽 눈이 각각의 기능은 정상이더라도, 두 눈이 함께 작동하는 방식에 문제가 있으면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를 ‘양안 시기능 불균형(Binocular Vision Dysfunction)’이라고 부르며, 두 눈이 협응하지 못하거나 한쪽 눈이 중심을 주도하면서 나타나는 시각적 불안정성이 핵심이다. 양안 시기능이 불균형할 경우 단순한 시야 흐림을 넘어서 두통, 집중력 저하, 공간지각 장애, 눈 피로, 불균형한 시야 처리 같은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주는 복합적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이 문제는 안경처방 단계에서 충분히 해결할 수 있으며, 이를 ..

안경학 2025.07.05

야외활동 중심 사용자에게 적합한 자외선 차단 설계

야외활동으로 자외선 노출, 눈 건강에 치명적인 영향을 준다사람들은 햇볕 아래 장시간 머무르면서도 자외선이 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무관심하다. 피부에는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면서도, 눈은 아무런 보호 장치 없이 방치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장시간 자외선에 노출될 경우, 수정체 혼탁, 황반 변성, 백내장 등 다양한 눈 질환의 위험이 높아진다. 특히 등산, 낚시, 스포츠 활동 등 야외활동을 자주 하는 사람은 눈의 노화가 빠르게 진행될 수 있으며, 단순한 불편함을 넘어 시력의 질 자체가 저하되는 결과로 이어진다. 이런 이유로 현대의 안경 및 선글라스 설계는 단순한 패션을 넘어, 자외선 차단 기능을 정밀하게 구현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야외활동 중심 사용자를 위해 어떤 ..

안경학 2025.07.05

렌즈 경사각 조절이 시야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렌즈 경사각’, 단순한 각도가 아닌 시야 안정성의 핵심많은 사람들이 안경을 맞출 때 도수나 렌즈 재질에는 신경을 쓰면서도,‘렌즈가 얼굴에 기울어진 각도’, 즉 렌즈 경사각(경사각: pantoscopic tilt) 에 대해서는 거의 인식하지 못한다.하지만 안경에서 이 각도는 시야 중심이 제대로 유지되느냐, 초점이 어긋나 피로감을 유발하느냐를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요소다.특히 경사각은 렌즈가 눈 앞에 위치하는 방식과 시선이 렌즈 중심을 어떻게 통과하느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같은 도수, 같은 렌즈라도 경사각이 5도, 10도 다르게 조절되면 시야 선명도, 입체감, 안정감이 전혀 달라질 수 있다.이 글에서는 렌즈 경사각이 왜 시야 안정성과 관련이 있는지, 어떤 기준으로 조정되어야 하며 실제 착용자들의 체..

안경학 2025.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