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경학

근시성 사시(내사시) 사용자에게 적합한 프리즘 렌즈 안내

cheesekong 2025. 6. 30. 07:00

내사시, 두 눈이 어긋나는 순간 일상은 흔들린다

사람의 눈은 항상 양쪽이 같은 방향을 바라보는 것이 자연스럽다. 그러나 어떤 사람들은 한쪽 눈이 안쪽으로 몰리거나, 정면을 응시할 때 양안이 미세하게 엇나가는 증상을 겪는다.
이러한 증상을 내사시(Esotropia) 또는 근시성 사시라고 하며, 주로 가까운 물체를 볼 때 두 눈이 과도하게 안쪽으로 몰리는 형태로 나타난다.
특히 근시가 심한 사람일수록 조절력과 융합력의 불균형으로 인해 내사시가 함께 발생하거나, 시각 피로가 극심해지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복시(사물이 두 개로 보임), 두통, 눈 피로, 집중력 저하, 나아가 사회적 스트레스까지 겪을 수 있다.
이러한 근시성 내사시를 교정하는 방식 중 가장 실용적이고 비수술적인 방법이 바로 프리즘 렌즈를 활용한 보정법이다.
이 글에서는 근시성 사시의 원인, 증상, 프리즘 렌즈의 원리, 적용 사례, 주의사항까지 전문가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설명한다.

근시성 내사시 환자들이 쓰는 안경의 프리즘 원리

 근시성 내사시의 발생 원인과 증상

 

내사시는 눈의 시축이 안쪽으로 몰리는 사시의 일종이며, 특히 가성 내사시(Pseudo-Esotropia)와 진성 내사시(True Esotropia)로 구분된다.
근시가 있는 사람에게서 나타나는 내사시는 대부분 다음의 원인으로 발생한다.

  • 고도 근시로 인한 조절 과다
  • 조절-융합 불균형
  • 안구 해부학적 위치 이상

내사시의 대표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다.

  • 복시 (사물이 두 개로 보임)
  • 시각 피로, 두통, 눈 돌림 시 어지러움
  • 집중력 저하, 독서나 모니터 사용 시 피곤함
  • 다른 사람이 보기엔 ‘눈이 몰린다’는 인상을 주어 외관상 스트레스

이러한 증상은 가볍게 넘길 수 있지만, 지속되면 일상생활과 학습능력, 작업 수행력까지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과 교정이 필요하다.

 

프리즘 렌즈란 무엇인가 – 시축 보정의 핵심 도구

 

프리즘 렌즈는 일반적인 도수 렌즈와 달리 빛의 진행 방향을 꺾어주는 역할을 한다.
즉, 사시로 인해 어긋난 두 눈의 시선을 인위적으로 맞춰주는 보정 기술이다.

프리즘 렌즈의 작동 원리
렌즈에 프리즘을 적용하면 빛이 굴절되어 눈이 보려는 대상의 위치가 ‘눈이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한 것처럼 느껴지게 된다.
이는 사시로 인해 어긋난 시축을 시각적으로 보정함으로써 복시 현상과 눈 피로를 감소시킨다.

처방 방식
프리즘 렌즈는 일반 도수(근시·원시·난시 등)와 함께 적용되며, 보통 프리즘 디옵터(△ Prism Diopter) 단위로 표시된다.
예: OD -3.50 △BI 3 (오른쪽 눈, 근시 -3.50, 내측 프리즘 3디옵터)

적용 위치
내사시의 경우 프리즘은 BI(Base In), 즉 렌즈 중심을 안쪽에 두고 바깥 방향으로 프리즘 기울기를 부여한다.
반대로 외사시는 BO(Base Out), 상사시는 BD(Base Down), 하사시는 BU(Base Up) 방향으로 적용된다.

프리즘 렌즈는 안과 혹은 안경원에서 사시각, 복시 정도, 시력 균형을 종합적으로 판단한 후 처방되며, 전문 측정 장비와 피팅 노하우가 반드시 필요한 고급 보정 기술이다.

 

실제 적용 사례 및 효과 – 프리즘 렌즈는 어떻게 달라지는가?

 

사례 1: 대학생 C씨 (고도근시 + 내사시)
고도근시(-7.50D 양안)를 가진 대학생 C씨는 강의 시간 동안 멍한 눈, 집중력 저하, 두통을 자주 겪었고, 책을 오래 읽으면 복시까지 나타났다.
내사시 진단 후 △BI 2 프리즘이 적용된 렌즈를 착용한 결과, 독서 시 시선이 안정되고 두통이 사라졌으며, 하루 종일 시야가 편안해졌다.

사례 2: 직장인 D씨 (중등도 내사시 + 모니터 업무)
사무직으로 하루 8시간 이상 컴퓨터 작업을 하던 D씨는 시야 피로가 매우 심했고, 눈이 자주 감기며 흐려지는 증상을 호소했다.
검사 결과, 중등도 내사시 진단과 함께 근시 -4.00 + △BI 3 프리즘 처방.
눈의 방향을 맞춰줌으로써 근거리 작업에서 눈 피로도가 현저히 줄어들었으며, 기존의 두 개로 보이던 모니터 글씨도 선명하게 개선됨.

 

프리즘 렌즈 사용 시 주의사항과 적응 전략

 

프리즘 렌즈는 시축을 강제로 조정하기 때문에, 처음 착용 시에는 약간의 어지러움 또는 이질감을 느낄 수 있다.
하지만 아래의 전략을 따르면 비교적 빠르게 적응이 가능하다.

 

착용 초기 적응법

  • 처음엔 하루 1~2시간씩 착용 후 점차 착용 시간을 늘린다.
  • 고개를 급격히 돌리기보다 시선을 천천히 움직이며 중심을 잡는다.
  • 피로하거나 졸릴 때는 착용을 피하고, 시각이 깨어 있는 시간대 중심으로 적응 훈련을 한다.
  • 컴퓨터·스마트폰 사용 시간을 조절해 눈의 부담을 줄이는 것이 좋다.

주의사항

  • 프리즘 렌즈는 도수와 시축이 정밀하게 맞아야 하므로 온라인 구입은 권장하지 않는다.
  • 안경 피팅 시 PD(동공 간 거리), 피팅 높이, 경사각까지 정확히 측정해야 한다.
  • 안경테가 불균형하거나 느슨해질 경우 프리즘 효과가 왜곡될 수 있어 정기 점검이 필요하다

 

자주 묻는 질문 

 

Q. 프리즘 렌즈는 평생 착용해야 하나요?
A. 내사시가 고정된 구조라면 지속적 사용이 필요하지만, 일부 조절성 사시는 훈련과 생활 개선으로 감소할 수 있습니다.

Q. 일반 안경점에서도 맞출 수 있나요?
A. 대부분의 프리즘 렌즈는 전문 안경사나 안과 협진이 가능한 안경원에서만 정확한 처방 및 제작이 가능합니다.

Q. 렌즈가 두꺼워지고 무거워지지 않나요?
A. 프리즘이 적용되면 한쪽이 두꺼워질 수 있습니다. 고굴절 비구면 렌즈를 사용하면 무게와 두께를 줄일 수 있습니다.

Q. 프리즘 렌즈는 미용적으로 티가 나나요?
A. 일부 사용자는 사선 왜곡을 느낄 수 있으나, 디자인 자체는 일반 렌즈와 유사하며 티가 거의 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