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 32

수면장애와 안경 – 블루라이트 차단 렌즈가 수면에 미치는 영향

수면장애가 익순한 시대, 그 중심엔 ‘빛’이 있다현대인은 과거보다 훨씬 적게 자고, 훨씬 자주 잠에 들지 못한다.수면장애를 겪는 인구는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단순한 스트레스가 아닌 생활 환경 자체가 수면을 방해하는 요인이 된다는 연구들이 속속 발표되고 있다.그중에서도 가장 주목받는 원인이 바로 야간의 디지털 기기 사용과 인공 조명에 의한 '청색광(블루라이트)' 노출이다.침대에 누워 스마트폰을 보는 습관, 퇴근 후 컴퓨터 작업, 저녁 시간대 밝은 LED 조명 아래의 생활이 반복되면서 신체가 수면 시간을 착각하게 되는 일이 빈번히 발생한다.이러한 현상은 멜라토닌 분비 억제, 생체 리듬 교란, 뇌의 각성 유지 등 복합적인 영향을 통해 불면, 얕은 수면, 새벽 각성 등의 형태로 나타난다.최근 블루라이..

안경학 2025.07.01

운전 중 시야 사각지대를 줄이는 렌즈 설계 – 프리즘 보정 사례 포함

위험한 사각지대, 보이지 않는 공간이 사고를 만든다운전을 할 때 가장 위험한 순간은 시야에 사물이 ‘없어서’가 아니라 ‘보이지 않아서’ 발생한다. 사이드미러로 확인되지 않는 사각지대, 후방 차량이 갑자기 시야에 들어오는 순간, 차선 변경 시 느껴지는 어색함 등은 대부분 시야 범위의 미세한 왜곡이나 제한으로 인해 발생한다.이러한 사각지대 문제는 단순히 자동차 구조 때문만이 아니다. 운전자의 시기능 문제, 특히 중심 시야의 한계나 주변 시야 해석 능력 저하가 함께 작용할 때 사고 위험은 더욱 커진다.특히 고령 운전자, 백내장 수술 이후, 혹은 프리즘 보정이 필요한 사시 경향이 있는 운전자들은 시야 내 ‘보이지 않는 구역’이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이 글에서는 운전 중 발생할 수 있는 시야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기..

안경학 2025.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