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5

색각 이상(색약)을 보완하는 안경 기술 – 실제 적용 사례와 한계

색각 이상이 보는 색이 다르게 보이는 세상, 기술이 도와줄 수 있을까?우리가 일상에서 인식하는 ‘색’은 단순한 시각 정보가 아니라, 감정, 행동, 반응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시각 요소다. 그러나 전체 인구의 약 8%는 이러한 색 정보를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하는 ‘색각 이상(색약, 색맹)’을 가지고 태어난다.대부분 남성에게서 나타나는 이 유전적 특성은 특정 색의 구분이 어렵거나, 두 가지 색이 동일하게 보이는 상태를 말하며, 대표적으로 적록 색약이 가장 흔하다.이런 색각 이상은 일상생활에는 큰 문제가 없지만, 신호등 구분, 색상 디자인, 전기전자 계통 업무 등 특정 상황에서는 제약이 따르기도 한다.과거에는 단순히 ‘교정할 수 없는 시각적 특징’으로만 여겨졌지만, 최근 들어 안경학 기술의 발전과 함께 색각 ..

안경학 2025.06.30

편광 렌즈와 변색 렌즈의 차이점 – 상황별 추천과 사용 주의사항

편광 렌즈와 변색렌즈, 선글라스라고 다 같은 게 아니다햇빛이 강한 야외에서는 대부분 선글라스나 컬러 렌즈를 착용하지만, 어떤 렌즈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시야의 질과 눈 건강에 큰 차이가 생긴다. 특히 요즘 많이 사용되는 편광 렌즈와 변색 렌즈는 외관상 비슷해 보여도 기능과 적용 방식, 권장 사용 환경이 전혀 다르다.두 렌즈 모두 자외선을 차단해 눈을 보호하는 기능을 하며, 햇빛에 민감한 사용자, 장시간 운전자, 아웃도어 활동을 즐기는 사람들에게 유용하다. 그러나 렌즈 구조와 작동 방식, 빛을 다루는 원리가 다르기 때문에 목적에 맞지 않게 착용하면 오히려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다.많은 사람들이 “편광렌즈가 변색도 되나요?”, “변색렌즈는 왜 차 안에선 안 변하나요?” 같은 궁금증을 갖지만, 그 이유는 렌즈의..

안경학 2025.06.30

누진다초점 렌즈 적응 실패 사례 분석과 극복 전략

누진다초점 렌즈 편리하지만 어렵다, 누진다초점 렌즈 적응 실패 사례 분석과 극복 전략나이가 들면서 가까운 글씨가 흐릿하게 보이는 노안(Presbyopia) 증상은 누구나 겪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식이 바로 누진다초점 렌즈(Progressive Lens)다. 하나의 렌즈에 원거리, 중간거리, 근거리 시야가 모두 포함되어 있어, 안경을 벗지 않고도 다양한 거리의 물체를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하지만 현실에서는 기대와 달리 적응에 실패하거나 어지럼증, 시야 왜곡, 두통, 눈 피로 등을 겪는 사용자들이 적지 않다. 특히 처음 누진다초점 렌즈를 접한 사람들 중 일부는 ‘도수가 잘못됐나’라고 의심하며 결국 사용을 중단하기도 한다.이러한 실패는 렌즈의 구조적 특성, 사용자의 생활 환경, ..

안경학 2025.06.29

야간 운전자에게 필요한 렌즈 설계 – 눈부심, 난반사, 대비 감도 개선

야간 운전, 밤길이 위험한 이유, 시력 때문일 수도 있다야간 운전을 할 때 도로에서 마주치는 상대편 차량의 헤드라이트, 가로등, 도로 반사판 등은 시야 확보에 큰 방해가 된다. 빛이 퍼지거나 번져 보이는 현상, 도로 표면이 반짝거려 정확한 인식이 어려운 상태, 또는 갑자기 다가오는 밝은 빛에 눈이 일시적으로 멈칫하는 경험은 많은 운전자들이 겪는 일이다.이러한 시각적 불편은 단순한 '눈부심'이나 '노안' 문제로 치부되기 쉽지만, 실제로는 렌즈 설계와 착용 상태에 따라 해결될 수 있는 경우가 많다.특히 야간에는 동공이 확장되어 광학계의 한계가 드러나기 쉽고, 빛이 망막에 고르게 맺히지 못할 경우 시야가 심하게 흐려진다. 이런 상태는 사고 위험을 높이고 운전 집중도를 크게 떨어뜨린다.따라서 야간 운전 시의 시..

안경학 2025.06.29

빛 번짐(Pupil Halo) 현상이 심한 사람을 위한 렌즈 설계와 대응법

빛 번짐으로 밤이 두려운 사람들, 퍼지는 불빛과 시야의 불안어두운 밤, 자동차 헤드라이트나 가로등 불빛이 하얗게 퍼지거나 후광처럼 뿌옇게 번져 보이는 증상을 겪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이른바 빛 번짐(Pupil Halo) 또는 Glare 현상은 시력 자체는 나쁘지 않더라도, 시야의 질을 현저하게 떨어뜨려 야간 운전 불안, 눈부심 회피, 집중력 저하, 눈 피로 누적 등의 문제를 유발한다.특히 고도근시, 각막 불규칙 난시, 백내장 초기, 산동 반응 과다, 시력교정수술 이후 등에서는 동공의 수축·확대 반응이 정상보다 크게 작용하면서, 렌즈 가장자리나 각막 주변에서 광학적 산란이 발생한다.문제는 이런 불편을 겪고 있음에도 많은 사람들이 이를 단순히 눈의 피로나 안경 탓으로 돌리며 방치한다는 점이다. 실제로는 빛..

안경학 2025.06.29